5월, 2025의 게시물 표시

엑셀 자동 테두리 설정법과 셀 크기 조절 팁

이미지
  엑셀 작업을 할 때 가장 자주 사용하는 기능 중 하나는 표 만들기입니다. 하지만 표를 만들고 나면 그때부터 귀찮은 작업이 시작되죠. 내용을 입력할 때마다 테두리를 직접 넣고, 셀의 너비와 높이를 하나하나 조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특히 회사나 과제, 보고서 등에서 엑셀을 자주 사용하는 분들은 매번 반복되는 이 과정 때문에 작업 효율이 떨어진다고 느끼셨을 거예요. 오늘은 그런 불편함을 줄여주는 두 가지 꿀팁, 즉 자동으로 셀 테두리가 생성되게 하는 방법 과 내용에 맞게 셀 크기를 자동 조절하는 방법 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이 두 가지 기능을 익히면 엑셀 작업 시간이 눈에 띄게 줄어들고, 표도 훨씬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어요. 엑셀 표 작성 시 반복되는 작업, 정말 번거롭죠? 엑셀로 표를 만들면 처음엔 보기 좋습니다. 하지만 내용을 계속 추가하거나 수정할 때마다 다시 테두리를 넣어줘야 하고, 셀 너비도 일일이 맞춰야 하죠. 이런 반복 작업은 특히 팀 보고용 문서나 고객에게 전달하는 자료일수록 더 신경 써야 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없는 부분입니다. 문제는 이 작업이 한두 번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거죠. 매번 마우스를 클릭해서 셀 테두리를 넣고, 내용 길이에 따라 셀 크기를 조정하는 데만 몇 분, 많게는 수십 분이 걸릴 수도 있어요. 이제부터는 이런 번거로움을 줄여보겠습니다. 조건부 서식과 단축키만 알면 됩니다. 자동으로 테두리가 생기는 조건부 서식 설정 방법 조건부 서식은 엑셀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할 때 셀의 스타일이나 서식을 자동으로 바꿔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셀에 숫자가 100을 넘으면 글자 색을 빨간색으로 바꾼다든지, 특정 문자가 들어가면 배경색을 바꾼다든지 하는 설정이 가능하죠. 그런데 이 조건부 서식을 활용하면 내용이 입력되는 셀에만 자동으로 테두리를 넣을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은 이렇습니다: 테두리를 자동으로 만들고 싶은 영역을 마우스로 드래그해서 선택합니다. 예를 들어 ...

윈도우 화면 확대 방법 정리

이미지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화면 속 글씨가 너무 작아 불편할 때가 많습니다. 특히 고해상도 노트북이나 듀얼 모니터를 사용하는 경우, 작은 아이콘과 글자가 눈에 잘 들어오지 않아 작업 효율이 떨어지기도 합니다. 하지만 스마트폰처럼 컴퓨터에서도 간편하게 화면을 확대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 글에서는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화면 확대 기능 과 세부 설정법, 활용 팁 까지 모두 소개하겠습니다. 마우스 휠로 간편하게 화면 확대 가장 쉬운 방법은 Ctrl 키 + 마우스 휠 을 함께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확대하고 싶은 창 위에 마우스를 올려두고, Ctrl 키를 누른 채 마우스 휠을 위로 돌리면 확대 , 아래로 돌리면 축소됩니다. 이 방법은 크롬, 엣지, 폴더 창, 엑셀 등 대부분의 프로그램에서 적용됩니다. 특징은 화면의 내용만 확대된다는 점 입니다. 상단 메뉴나 바탕화면 아이콘은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화면 전체를 확대하고 싶다면 돋보기 기능을 사용해보세요 상단 메뉴, 작업 표시줄, 바탕화면 아이콘까지 화면 전체를 함께 확대하고 싶다면 윈도우 키 + + (더하기) 키 를 눌러보세요. 이 단축키를 사용하면 윈도우의 '돋보기' 기능이 자동으로 활성화됩니다. 돋보기가 켜진 상태에서는 키를 한 번 누를 때마다 확대 배율이 증가합니다. 반대로 줄이고 싶다면 윈도우 키 + - (빼기) 키 를 누르면 됩니다. 돋보기를 종료하고 싶다면 윈도우 키 + ESC 키를 눌러주세요. 이 기능은 전체 UI를 확대하기 때문에 시력이 좋지 않거나 아이콘이 너무 작은 경우 에도 매우 유용합니다. 마우스 커서 주변만 확대하고 싶다면 렌즈 모드를 활용하세요 돋보기 기능이 기본값으로 전체 화면을 확대한다면 ‘렌즈 모드’를 사용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렌즈 모드는 마우스 커서 주변만 확대되는 방식 으로, 화면 전체가 밀리는 듯한 느낌 없이 필요한 부분만 확대됩니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와이파이 7, 정말 10기가보다 빠를까? 직접 써보고 후회한 이유

이미지
“와이파이 7은 10기가 인터넷보다 빠르다?” 이 말에 혹해서 고가의 공유기를 구매한 분들이 꽤 많습니다. 저 역시 그 중 한 명이었고, 기대를 품고 사용해 본 결과는... 예상과는 많이 달랐습니다. 이 글에서는 와이파이 7의 기술적 특징, 실제 속도, 체감 성능, 그리고 구매 시 주의할 점까지 직접 사용해 보고 알게 된 사실들을 솔직하게 정리해 드립니다. 1. 와이파이 7, 왜 이렇게 주목받고 있을까요? 와이파이 7은 최신 무선 인터넷 표준으로, 기존 세대보다 훨씬 빠른 속도와 낮은 지연 시간을 자랑합니다. 와이파이 6이 2.4GHz와 5GHz 대역을 사용했다면, 와이파이 6E는 여기에 6GHz가 추가됐습니다. 그런데 와이파이 7은 이 세 가지 주파수 대역을 동시에 활용합니다. 이 기술을 MLO(Multi-Link Operation)이라고 하며, 유선처럼 업로드와 다운로드를 동시에 할 수 있는 게 핵심입니다. 또한 대역폭은 320MHz까지 확장되었고, QAM(변조 기술)도 4096까지 향상되며 더 많은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습니다. 기술적으로 보면 분명 획기적인 변화입니다. 하지만 문제는 이 기술을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얼마나 활용할 수 있느냐 입니다. 2. 공유기 가격은 왜 이렇게 비쌀까요? 와이파이 7 공유기는 현재 초기 도입기 에 있습니다. 그만큼 가격도 상당히 높습니다. 제가 구매한 TP-Link의 하이엔드 제품은 무려 68만 원 이었고, 가성비로 잘 알려진 아이피타임조차 약 48만 원 대입니다. 와이파이 6 공유기가 5~10만 원대인 걸 감안하면, 가격 차이는 상당히 크죠. 게다가 공유기만 바꾼다고 끝이 아닙니다. 연결되는 디바이스(스마트폰, 노트북 등) 역시 와이파이 7을 지원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성능은 오히려 기존보다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3. 이론상 속도, 정말 그렇게 빠른가요? 이론적으로 와이파이 7은 최대 46Gbps , 즉 초당 5.75기가바이트 전송이 가능합니다. 와...

직접 써보고 만족한 전자기기 추천 4가지 | 보조배터리부터 스피커, 소형PC까지

이미지
전자기기를 자주 사용하는 사람들은 다양한 제품을 경험하게 됩니다. 그중에서 직접 돈을 주고 산 전자기기 는 만족도가 높을 수밖에 없죠. 이 글에서는 실사용자들이 구매 후에도 만족한 제품들을 소개합니다. 실제 후기와 함께, 각 제품의 장점과 단점을 솔직하게 정리했습니다. 1. 거치대와 보조배터리를 하나로 – 실속형 충전 솔루션 거치형 보조배터리 는 사무실에서는 스마트폰 거치대로, 외출 시에는 분리해서 들고 나갈 수 있어 효율적입니다. 특히 케이블 내장형이라 따로 챙길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하다는 후기가 많습니다. ✅ 장점 충전 케이블 내장으로 휴대성 우수 거치와 보조배터리 기능을 동시에 ⚠️ 단점 자동 충전이 안 되는 모델은 버튼을 눌러야 작동 마감 퀄리티가 아쉬운 제품도 있음 2. 가성비 스피커 추천 – 에디파이어 MR3 작지만 소리가 풍부한 스피커를 찾는다면, 에디파이어 MR3 는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5만 원대 가격으로 블루투스와 유선 연결을 지원하며, 출력도 준수합니다. ✅ 장점 작은 크기 대비 출력 훌륭 USB-C 전원 연결로 간편한 설치 따로 받침대 없이도 각도 확보 가능 ⚠️ 단점 상위 모델(MR4)에 비해 음질 세부감은 살짝 부족 3. 공간 효율 최고 – SFF PC 직접 조립 후기 SFF(Small Form Factor) PC 는 공간 절약을 위해 만든 소형 데스크탑입니다. 좁은 방이나 책상에서도 설치 부담이 적고, 디자인 만족도도 높습니다. 실제로 조립에 70만 원 가량이 들었고, 기존 부품 일부를 재활용했습니다. 케이스 마감이 아쉬웠지만, 실사용 만족도는 매우 높았습니다. ✅ 장점 공간 활용도 뛰어남 기존 PC 부품 재활용 가능 커스터마이징 자유도 높음 ⚠️ 단점 미니 ITX 부품 구매가 필수 조립 난이도 다소 있음 4. 스틱형 초소형 보조배터리 – 매일 들고 다니는 이유 매일 스마트폰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