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통신 3사 AI 비교, 승자는 누구일까요?

AI가 공개된 지도 벌써 3년이 지났습니다. 2022년 11월, 오픈AI가 챗GPT를 출시한 이후 AI에 대한 관심은 급격히 커졌습니다. 이제 AI는 더 이상 먼 미래의 기술이 아니라, 일상과 비즈니스 곳곳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존재가 되었습니다. 한국 AI 기술, 세계 수준일까요? AI 시장은 미국과 중국이 막대한 투자를 하며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한국은 어떤 위치에 있을까요? 국내 기업들도 대규모 언어 모델(LLM) 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LG의 AI X1.0 은 글로벌 벤치마크 순위에 이름을 올리며 존재감을 드러냈습니다. 마케팅은 조용하지만, 기술 개발에는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셈입니다. 최근 정부는 이른바 ‘AI 국대’ 팀을 선정했습니다. 네이버, 업스테이지, SKT, LG가 포함되었으며 카카오와 KT는 아쉽게 제외되었습니다. 이만큼 국내 기업들이 AI 기술 발전에 진지하게 참여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통신 3사 AI, 누가 더 똑똑할까요? 이번 비교에는 SK텔레콤의 A.X 4.0 , KT의 믿음 2.0 , LG의 AI X1 4.0 이 참여했습니다. LG AI X1은 LG유플러스의 AI ‘익시젠’의 기반이 되는 모델이므로, 사실상 통신 3사의 AI 대결이라 볼 수 있습니다. 테스트 환경은 애플의 맥스튜디오 풀옵션 모델을 활용했습니다. 가격이 무려 1,814만 원에 달하며, M3 울트라 칩과 512GB 메모리를 갖춘 초고성능 장비입니다. 기업들은 더 큰 서버를 사용하지만, ‘양자화’라는 기술 덕분에 일반 사용자도 비교적 가볍게 AI 모델을 구동할 수 있습니다. 양자화는 마치 고화질 사진을 카톡으로 보낼 때 용량을 줄이기 위해 해상도를 낮추는 것과 비슷합니다. 모델 용량이 줄고 속도가 빨라지지만, 일부 성능은 낮아질 수 있습니다. 수학 문제 테스트, 결과는? 첫 번째 문제로는 구글 입사 문제로 유명한 “시계의 시침과 분침은 하루에 몇 번 겹칠까?”를 제시했습...